’22년 1월 잠정 수출(1일~20일)

#’22년 1월 잠정 수출(1일~20일)

2021년 1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입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한 344억달러, 수입은 38.4% 증가한 40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무역수지는 -56.3억달러로 1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무역수지인 -50억달러보다 적자 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조업일수는 15일이었으며 이를 반영한 일평균 수출금액은 전년동기대비 18% 증가한 22.9억달러, 수입은 33.7% 증가한 26.7억달러였습니다.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9.5%), 승용차(22.8%), 석유제품(84.0%), 가전제품(105.4%) 등은 증가했으나 무선통신기기(△40.4%) 등은 감소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중국(18.8%), 미국(28.0%), 유럽연합(15.8%), 베트남(9.6%), 일본(18.3%), 대만(16.2%) 등에서 증가했습니다.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원유(96.0%), 반도체(27.1%), 가스(228.7%), 석유제품(85.7%) 등은 증가했고 기계류(△0.6%) 등은 감소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중국(26.6%), 미국(46.9%), 유럽연합(15.4%), 일본(15.8%), 호주(97.3%), 사우디아라비아(174.5%) 등에서 증가했습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기초 소재의 수입 증가율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높아진 수입 물가는 국내 인플레를 부추기는 요인이 됩니다. 1월 20일까지의 무역수지가 -56.3억 달러로 적자 상태인데, 나머지 10일 동안에도 별 다른 변화가 없다면 2008년 이후 처음으로 2달 연속 무역 수지가 적자인 상황이 발생합니다. 2008년은 금융위기가 명백했고 현재는 그 누구도 ‘금융위기’라고 일컫고 있진 않지만 국가와 가계의 높아진 부채 수준과 자영업자들의 줄 폐업, 높은 인플레 상황, 공급망 경색, 고유가, 러시아 쪽 전쟁 긴장감 등 ‘위기’라고 말할 수 있는 요인은 많습니다.

코로나 발생 후 전세계적으로 유동성이 크게 확대되었고 그 수많은 ‘위기’ 요소를 배제하는 시장 분위기가 지속되었습니다. 코로나 이전엔 작은 리스크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던 시장이 코로나 이후엔 조그만 호재에도 과민하게 반응하고 리스크는 되려 묻고 가는 형국이었습니다. 당사는 지난 1년 내내 보수적인 관점을 말씀드렸고, 이는 되려 시장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비판의 요소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1월 하락장을 보며 느낀 것은, 올라갈 때도 이례적이었는데 내려올 때도 이례적이라는 점입니다. 이쯤이면 충분히 과매도 구간이라고 볼 수 있음에도 주가는 예상을 빗나간 채 계속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쯤이면 바닥이겠지하고 매수를 하면 다음날 그대로 물려버리니 종목을 고르는 것도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시장에는 다음주에 있을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 이슈가 마무리 되면 꼬인 수급이 개선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LG엔솔의 유통물량이 적어 펀드가 기계적으로 LG엔솔을 담기 위해선 기존의 다른 종목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며, LG엔솔에 들어갔다 다시 나오는 금액이 시장에 풀리면 수급은 개선될 것이라는 겁니다. 하지만 LG엔솔의 영향을 예단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오는 25일에 열릴 FOMC에서 시장의 예상보다 더 매파적인 입장을 밝힐 경우 시장은 이를 불확실성 해소로 해석할지 아니면 긴축의 본격화로 해석할지도 모르겠습니다.

1월 20일까지의 일평균 수출과 수입에 1월 예상조업일수 21.5일을 곱할 경우 수출은 492억달러, 수입은 574억달러가 되며 무역수지는 -81.7억불로 적자 폭이 확대됩니다. 2022년 1월 21일 종가 기준 코스피/코스닥 시가총액의 합은 2,508조원이며 2021년 1월부터 현재까지의 월별 종가 기준 시가총액 중에선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이를 1월 예상 수출/수입의 연환산 값과 비교할 경우 무역 대비 시가총액의 비율은 163.5%가 됩니다. 예상 수출 규모가 500억 달러 이하로 떨어지다 보니 증시 조정에도 불구하고 해당 비율의 하락이 크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론 단기 낙폭 과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무역수지 적자 가능성을 고려할 경우 추세 상승을 논하기엔 이르다 판단하여 단기 트레이딩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Be the first to comment

Leave a Reply